※ 본 리뷰는 21:9의 캡쳐 원본 그대로 살려 사용하고있습니다. PC나 폰의 가로모드로 보시면 이미지를 좀더 시원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시일 2019.02.15
메타크리틱(PC판) - 82 (유저 6.8)
오픈크리틱 - 83 (추천도 82%)
정가 - 65,000원 역대가 - 37,750원
플레이 타임 - Only스토리 약 13시간 / 모든컨텐츠 약 35시간
메트로 시리즈
전작 리뷰 보기 : [리뷰] 메트로 리덕스 번들 (2033, Last Light)
전작 2033 과 라스트라이트 를 통해 인지도를 형성한 메트로 시리즈의 신작. 엔비디아의 레이트레이싱(RTX)발표와 함께 돌아왔습니다. 변화한 모습도 있지만 이전작들 처럼 뛰어난 그래픽을 보여주고 있으며, 스토리와 연출력 또한 그대로 계승 되었습니다.
이전작들이 쉐이딩 떡칠이었다면, 이번작은 '빛'의 향연입니다. 이전작 들과는 다르게 게임이 지하철이라는 좁은 공간에서만 이뤄 지지 않습니다. 제목에 걸맞게 엑소더스=이주 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덕분에 마주치는 4계절을 표현하고있습니다. 그런데 그 4계절이 가지는 빛을 자연스러우면서도 화려하게 표현하고있습니다.
단순히 한 공간을 4계절로 표현한 것이 아닌, 엑소더스하는 과정에서 지나치는 다양한 배경 또한 한 몫합니다. 사막부터 풀숲, 황량한 강 등 많은 공간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느껴지는 감정은 그래픽이 아니라 아트웍같다는 느낌입니다. RTX 그래픽 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충분히 놀라웠고, 엔비디아의 RTX그래픽카드를 사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던 게임입니다. (베가64로는 프레임 확보를 위해 상옵으로 진행했습니다)
철저한 1인칭 연속 카메라 연출은 콜 오브 듀티(COD)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작들에서 4A게임즈는 그 1인칭 기법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활용성을 극대화 했습니다. 이번 작품은 그러한 연출이 좋은 이야기 속에서 다양한 사건들을 만날 때 어떤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지역을 이동하며 만나는 다양한 사람들,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의해 반응하는 캐릭터, 그에따라 발생하는 사건의 절박함과 조금은 더 폭이 넓어진 사건을 풀어나가는 방법.
본래 이전작들은 '좁고 어둡다'라는 특징으로 1인칭이 가지는 불안감을 극대화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작인 엑소더스는 '몰입된 체험'이라는 장점을 내세웁니다. '메트로'라는 극히 좁은 공간을 무대로 했던 게임은,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바깥세상으로 넓어져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다양한 세계상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단순한 직진형 구조였던 이전 작들과는 다르게 각 구역별로 탐험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마련해 두었습니다. 꽤나 자연스럽게 각 지역을 체험할 수 있게 되어있는 것 입니다. (오픈월드 혹은 반픈월드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그냥 조금 더 돌아보는 수준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변화한 체험의 형태는 높은 퀄리티로 인해 만족감이 컸습니다. 변화하였지만 단순히 이전작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심이 아닌 충분한 이유를 가지고 제대로 디자인 된 게임 이라는 느낌이었습니다. 제작진들은 이전 작 들로 '메트로'라는 세계를 그려내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번작에서는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그려내는것을 목표로 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여전히 지하세계를 떠돌기도 하지만, 상당부분 지상에서의 이야기가 펼쳐지다 보니 이제 '호러'의 느낌은 많이 사라졌습니다. 물론 지상에도 다양한 크리쳐들이 플레이어를 위협합니다. 하지만 이전 작들 처럼 보면 무조건 도망가야 하는 적은 없습니다. 제작진들은 이번작의 방점은 호러 보다는 '서바이벌'에 찍어놓은듯 합니다. 각 지역별로 일정 수준의 넓이를 제공하고, 그 안에서 파밍이 얼마나 되었는가에 따라 게임의 난이도는 달라집니다.
또한 이전작들이 각 역에서 물품 거래로 물자를 채워야했던것 과는 다르게 '크래프팅'이 가능해졌습니다. 직접 재료를 줍고 제작하고, 특정 물품들은 전용 제작대를 찾아서 제작하고, 무기를 개조하는 모든 것을 플레이어가 직접 해나가야 합니다. 그야말로 서바이벌 활동에 얼만큼 집중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가 전혀 달라지게 만들어놨습니다. 그렇다고해서 파밍을 열심히하면 무쌍을 찍을 수 있는건 또 아닙니다. 척박해진 그리고 야생으로 돌아가버린 자연환경에서 우리=사람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것인가, 그것을 충분히 고민할정도의 긴장감은 유지 해 줍니다
변해버린 게임의 분위기와 스타일 모두 기존의 팬들에게 비판을 받을 수 있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게임의 완성도는 단순히 그 이유 만으로 비판을 받기엔 너무 뛰어납니다. 물론 쉽지 않고 긴장감이 유지되는 장르의 게임인 만큼 호불호는 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 세대에서 느낄 수 있는 최상위의 그래픽과 잘 짜여진 스토리 만으로도 이 게임은 가치가 충분합니다.
이제 DLC 계획이 발표 되었습니다. DLC를 기다리며 뉴게임플러스를 즐겨볼까 합니다. 다 깨고 알았는데 이게임 멀티엔딩이더라고요. 그리고 두번정도 플레이는 충분히 할만한 재미와 몰입도가 있는 게임입니다. 만약 고사양 RTX 그래픽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일단 한번 플레이 해보시면 어떨까요?
PS. 한국어 번역에 문제가 조금 있습니다. 플레이 진행하는데 큰 불편은 없었지만, 수정 되어지길 바래봅니다.
플레이 환경 : AMD Ryzen 2700x + Sapphire Rx Vega 64 Nitro + LG 34UC79G
스토리 : ★★★★
연 출 : ★★★★☆
플레이 : ★★★★
만족감 : ★★★★☆
추천도 : ★★★★☆
'게임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글] E3 - 한눈에 보는 Xbox E3 2019 생방송 정리!! (0) | 2019.06.10 |
---|---|
[E3 2019] 06.10 첫날 공개 영상 모음 (0) | 2019.06.10 |
데스 스트랜딩 발매일 공개 트레일러 (일음 한글자막) (0) | 2019.05.31 |
Heavy Rain PC판 데모 첫인상 (0) | 2019.05.26 |
[리뷰]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의 완성 - 시즌패스 (0) | 2019.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