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리뷰는 21:9의 캡쳐 원본 그대로 살려 사용하고있습니다. PC나 폰의 가로모드로 보시면 이미지를 좀더 시원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둘다 같은사람. 게임이 두개라..

 

출시일 2014.08.28
메타크리틱(PC판) - 84 (유저 7.7)

오픈크리틱 - 84 (추천도 90%)
정가 - 42,000원 / 스팀 할인가 - 약 8,000원  (2019년 5월 18일 현재 할인중)
플레이 타임 - 2033 / Last Light 각각 10여시간

 

잘 표현된 세계관은 이 게임의 백미

러시아의 원작소설 메트로2033을 기반으로한 게임으로, 우크라이나 개발사인 4A게임즈의 게임입니다. 동구권의 게임들 답게 뛰어난 포스트 아포칼립스 감성을 보여주며 원작의 세계관을 잘 재현해내서 2010년 첫 작품인 2033을 발매했을 당시부터 꽤나 좋은 평을 받았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리마스터된 리덕스 시리즈를 2014년에 동시에 발매했고, 리덕스 시리즈는(특히 2033) 리메이크에 가까운 리마스터로 좋은 평을 받으며 게이머들에게 한번 더 알려집니다. 

 

구석구석 발견되는 메트로 2034 이스터에그 

 

이 게임은 FPS이자 서바이벌 호러 액션 입니다. 하지만 괴수들이 등장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이 범람하는 이 시대의 우리 게이머들은 그런것을 더이상 무서워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메트로 시리즈는 조금 다른 선택을 합니다. '공포감' 이 아닌 '긴장감'입니다. 이 게임은 '지하도'라는 좁은 공간을 주인공의 눈(1인칭)으로 제한하며, '조명'이라는 수단으로 볼 수 있게 더 좁게 만들어 '언제 어디서 어떤일이 발생하거나 무엇이 튀어나올 지 알 수 없는 긴장감'을 선사합니다. 최근 슈터들이 전략을 중시해서 3인칭을 사용하거나 시야밖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들을 HUD에 포함시키는 것과는 사뭇 다릅니다. 우리는 오로지 소리 그리고 시야 이 두가지에 집중해야하며, 살아 남아야 합니다.

 

제한적 HUD. 디비전 하다 이 게임 시작 했을때는 당혹스러웠다

하지만 그렇다고 전략성을 포기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자원은 도처에 있지만 쉽게 지나치거나 낭비를 할 경우 금방 후회하게 됩니다. 기본 난이도에서는 적절히 배분 잘 되어 긴장감만을 주는 정도라고하면, 높은 난이도에서는 계획적으로 탄의 사용과 암살을 해 나가야만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불 탈때도 1인칭 으아악!

 

몰입도는 이 게임의 연출력으로 더욱 배가 됩니다. 이 게임은 철저할정도로 1인칭 시야에 집중합니다. 모든 게임 진행은 1인칭으로만 진행되며, 카메라웍은 '연속'됩니다. 챕터가 변경될 때 카메라웍이 끊어지지만, 이것은 사실상 로딩을 위한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연속된 카메라웍은 게이머가 보고있는 장면을 '내가 보고있다' 라고 느끼게 만들기에 최선의 선택입니다. 게이머는 어떤 방법으로도 외부의 정보를 알 수 없고, 오로지 '나=주인공' 이 되어서 눈앞에 닥친 상황들을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연속된 카메라웍으로 연출의 극한을 보여준 갓오브워

 

메트로 시리즈의 그래픽적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질감' 아닐까 합니다. 고해상도 텍스쳐와 (떡칠된) 쉐이더로 만들어내는 질감은 나온지 5년이나 된 이 게임이 그렇게 부족해 보이지 않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하물며 발매 당시에는 ..물론 말도 안되는 사양으로 욕을 많이 먹기도 했지만) 1인칭 게임으로서 더 적은 공간을 그려내도 되는 특징을 높은 퀄리티로 반영한 제작진의 선택은 뛰어났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다소 오래된 게임이라 최상의 그래픽을 자랑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 하기에도 무리없는 그래픽, 그리고 1인칭 시점으로 보여줄 수 있는 최상의 연출력, 흥미로운 스토리는 이 게임을 추천하는데 주저하지 않게 만듭니다. 

 

질감표현이 참 좋다

 

사실 포스트 아포칼립스는 이제 별로 새로울 것이 없는 장르입니다. 핵이 터지거나, 좀비가 퍼지거나, 가끔 행성이 충돌하거나. 하지만 이 작품은 그 사이에 '검은 존재'라는 미지의 존재를 끼워 넣었습니다. 코스믹 호러스러운 이 검은 존재는 이야기를 어디로 튈지 모르게 만들어주며, 끝까지 긴장감을 유지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소련이라는 배경 특성상 메트로는 정치적으로 굉장히 민감한 사회가 만들어집니다. 각 세력이 만들어내는 정치적 분쟁과 망해버린 세계 속의 검은존재로 인한 생명에대한 고민. 그 속에서 아르티옴이 되어 생존해 나가보시는 것도 한번 쯤 해볼만한 경험 아닐까요

 

얼른 끝내고 신작 하러 가즈아!



플레이 환경 : AMD Ryzen 2700x + Sapphire Rx Vega 64 Nitro + LG 34UC79G
만족감 : ★★★★
추천도 :
D L C  : ☆☆☆☆☆

 

+ Recent posts